미 장기채 금리 상승 원인
미 국채 10년 물 금리는 전일대비 12.73bp 상승한 1.43%까지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9월 FOMC에서 점도표 인상에도 반락했던 미 국채 10년 물 금리는 주요국인 노르웨이 및 영국 BOE의 통화정책 회의 결과와 줄어드는 델타 변이 바이러스 우려 그리고 헝다 그룹 리스크 완화로 인한 금리 상승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긴축 행보로 인해 미 국채 금리가 상승했다고 보는데 노르웨이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0%에서 0.25%로 인상했고 한국을 제외하면 선진국 중 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금리인상을 단행하는 국가입니다. 노르웨이 중앙은행 총재는 경제가 정상화되면서 금리를 점진적으로 정상화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언급했고 현재의 전망과 금융 불균형을 고려할 때 12월 추가적으로 금리 인상을 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영국 중앙은행은 금리를 0.1%로 동결하고 자산매입도 유지했지만 자산매입 축소를 주장하는 위원들이 조금씩 생기고 부총재 또한 자산매입 축소를 주장하면서 높은 인플레이션을 감안해서라도 자산매입을 빨리 축소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영국의 인플레이션은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는데 CPI가 전년대비 3.2%로 8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고 이러한 물가상승으로 인해 11월 금리 인상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주요 중앙은행들의 긴축 스탠스와 헝다 그룹 부채에 관한 우려 완화도 금리가 반등하는데 영향을 끼쳤는데 헝다 그룹의 디폴트 가능성으로 글로벌 증시는 하락하고 안전자산인 채권에 대한 수요가 높아져 금리가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우려가 다소 사라지면서 안전자산인 채권에 대한 매력이 줄어들어 금리가 올라간 것으로 보입니다.
대체적으로 안전자산으로 불리는 금, 채권, 엔화 등의 약세가 나타나고 주식, 코인 등의 위험자산이 강세를 나타내면서 안전자산에서 위험자산으로 수급이 쏠리는 모습이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모습은 헝다 그룹 디폴트 리스크가 줄어들었고 FOMC를 통해 인플레이션이 조금 더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결과라고 보고 있습니다.
향후 장기 금리 전망
단기간으로는 금리의 변동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보는데 헝다 그룹 이슈가 아직 끝나지 않았고 주요국 중앙은행들의 긴축 행보로 9월 FOMC에 대한 해석이 엇갈리기 때문입니다. 9월 FOMC에서는 시장의 예상보다 빠른 금리인상 경로를 제시했지만 시장의 영향력은 크지 않았고 연준이 인플레이션 상승을 용인하는 가운데 이는 경기 회복의 영향 등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주요 국가들의 통화정책 정상화로 미국의 인플레이션 우려는 다시 한번 부각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연준은 9월 FOMC에서 공급 병목현상 문제가 더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고 구인난으로 인한 높은 임금 상승률도 향후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뿐만 아니라 미 연준이 물가 상승을 용인한 점도 다시 한번 시장의 우려로 부각될 것이며 어제 뉴욕 연은총재는 물가 상승을 확인한 이후 금리를 인상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연준은 정상 이상으로 긴축할 것이라 의견을 내비쳤습니다. 또한 이번 주에 있을 독일 총선도 금리 변동성에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이고 조만간 나타날 부채한도 협상 이슈에 대한 변동성도 존재하고 있습니다.
다만 올해 말 기준으로 부채한도 협상 같은 다양한 이벤트들이 종료되고 나면 부채한도 협상 타결 및 인프라 정책 같은 재정정책 실행, 델타 변이에 대한 우려 감소와 다시 한번 나타날 재정정책으로 인한 경기 피크아웃 우려 감소로 금리는 다시 한번 1.7% 정도로 반등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시 한번 성장과 물가가 같이 나타나는 모습이 나타나며 채권에 대한 매력은 감소할 것으로 보이고 11월 FOMC에서 테이퍼링을 실시하게 된다면 채권에 대한 공급이 줄어드니 금리는 오를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단기적인 변동성에 대해서는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투자에관하여 > 경제분석 및 경제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주식시장 반등하기 위한 2가지 조건 (ft.공급병목현상,중국부양책) (18) | 2021.10.01 |
---|---|
중국 전력공급난에 따른 생산 차질의 영향 및 증시 전망 (8) | 2021.09.28 |
테이퍼링+경기둔화 우려를 해소 할 방법은 재정정책(경기부양책)이다. (ft. 하반기 탄소중립 정책 수혜주) (12) | 2021.09.03 |
하반기 논의될 미국 재정정책 3가지 정리 (26) | 2021.08.10 |
하반기 주식시장 친환경 관련주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 (5) | 2021.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