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에관하여/매크로 전망 및 거시경제

5월 금통위 금리 인상 50bp 빅스텝 가능성은?

증시와투자 블로그 2022. 5. 24. 09:35

5월 기준금리 50bp 인상 가능성


5월 26일 목요일 한국은행 5월 금통위가 열리게 됩니다. 최근 미국의 FED의 기준금리 빅 스텝 50bp 인상이 나오면서 이번 금통위에서도 50bp 인상 가능성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주 한은 총재는 빅 스텝을 배제할 수 없다는 발언 후 당일 단기금리가 10bp 이상 상승했는데 경제 부총리와의 회동 직후 발언이라 시장에는 충격을 주었고 이에 따른 영향으로 이번 5월 금통위에서 50bp 빅 스텝 인상을 하는 것이 아니냐라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총재의 발언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둔 원론적인 발언이라고 해명했지만 채권 시장은 이미 기준금리 50bp 인상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5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50bp 인상 빅 스텝보다는 이후 다가오는 금통위마다 25bp씩 연속 금리인상을 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미 작년부터 시작된 몇 차례 기준금리 인상으로 개인들의 신용리스크를 줄이는 목표를 달성하고 있으며 50bp 인상을 하더라도 공급에서의 인플레이션이기 때문에 오히려 이는 성장을 더욱 둔화시키는 악영향으로 끼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별도로 한은에 따르면 시장금리가 25bp 상승할 때마다 이자비용은 16.4만 원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현대 경제연구원에 따르면 대출금리가 2% p 상승할 때마다 자영업자 가구의 연평균 이자비용은 약 210만 원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이 되어서 빅 스텝은 경제 성장을 둔화시키는 길로 갈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오는 5월 26일 열리는 금통위에서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1.75%로 25bp 인상할 것으로 예상되고 이와 함께 3분기 및 4분기에도 각각 한 차례씩 추가 금리인상을 단행할 것이며 7월 연속 금리인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5월-금통위
5월 금통위

 

경제 성장률, 물가 전망


이미 4월 금통위 통화정책방향 문에서 밝혔듯이 연간 물가 전망치를 3.1%에서 4%대로 올릴 것으로 보이고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3%에서 2% 후반으로 하향 조정할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의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도 높아지고 있는데 넘베오에 따르면 한국의 2022년 식료품 물가지수는 전 세계 4위 수준으로 한국도 식료품 가격의 상승은 저소득층에게 부정적 영향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고 올해 실적치 반영 및 수요 측 인플레이션 압력 확대 가능성 등을 반영해 물가 상승률을 4%대로 올리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성장률 같은 경우에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글로벌 혼란 및 중국의 코로나 셧다운으로 인한 경제 둔화 가능성을 반영할 것이지만 2차 추경 영향으로 성장률 전망치는 소폭 하향 전망할 것으로 보입니다.

 

결국 한국의 경우에도 물가는 상승하고 경제성장은 하락하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현재 생기고 있으며 한국은행도 미 연준과 마찬가지로 수요에서의 인플레이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이번 5월 금통위에서 25bp 금리인상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포워드 가이던스


앞서 말씀드린 내용을 토대로 다가오는 5월 금통위에서는 25bp 금리 인상할 것으로 보이고 앞서 물가상승 전망치를 올리고 경제성장률 전망치 하향은 이미 충분히 예고된 것으로 보아 정책에 따른 채권 시장의 미치는 효과는 적을 것으로 보입니다. 

 

더구나 최근 시장은 경기 침체를 우려하고 있어 예상된 수준의 정책 결정은 완화적인 기조로 받아들여질 수 있기 때문에 인상의 효과가 충분치 않을 수 있어 시장의 큰 정책 결정 효과를 주기 위해서는 포워드 가이던스에서 어떤 식으로 나아갈지에 대한 힌트들이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예를 들어 기대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 다가오는 금통위 마다 금리인상을 시행할 것이라는 금리 전망 또는 실제로는 50bp 빅 스텝 금리인상을 하지는 않지만 인터뷰를 통해 지속적으로 시장에 겁을 주면서 기대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효과를 얻을 수 도 있어 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은행이 이번 금통위에서 기대 인플레이션을 꺾기 위한 어떠한 포워드 가이던스를 제시할지 지켜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