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중국 경제지표 쇼크
중국 정부는 연간 경제성장 목표 달성에 어려울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그 이유는 7월 경제지표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주요 지표들이 시장 예상치를 하회했고 6월 봉쇄 해제로 반짝 반등했던 지표들이 7월에 일제히 반락했습니다.
경기선행지표인 7월 관방 제조업은 PMI는 49%로 한 달 만에 경기 분기점을 하회했고 특히 수요를 반영하는 신규 수요와 신규 수출주문 지수는 각각 48.5%, 47.4%로 생산보다 낮아 수요에 대한 체감 경기는 여전히 낮은 상태입니다.
통화지표도 부진한데 7월 M2 증가율은 12%로 6월 대비 소폭 증가했지만 실질적인 경기 체감을 느끼는 가계와 기업의 중장기 대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각각 63%, 30% 감소했습니다. 이는 결국 늘어나는 유동성보다 수요 부진이 더 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소매판매는 자동차 판매 말고는 다들 부진하고 온라인 소비도 부진했습니다. 특히 부동산 투자의 부진이 가장 뼈아픈데 컨센서스보다 하회한 -6.4%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디벨로퍼들의 유동성 경색에 따른 재투자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왜 이렇게 수요가 부진하게 나왔냐 그 이유를 살펴보면 먼저 1) 제로 코로나 영향이 여전히 존재하고, 2) 부동산 디레버리징 기조가 전통적인 부양책의 효과를 줄이고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상반기 제로 코로나 정책을 시행하고 나서 경제가 박살난 중국은 하반기에는 그나마 제로 코로나 까지는 아니자만 여전히 봉쇄정책을 펼치고 있긴 합니다. 이 같은 봉쇄정책은 규정이 많이 완화되었긴 하지만 이동 제한 같은 조치를 취하게 되면서 사람들의 소비를 줄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부동산 디레버리징이 소비와 생산 등 실물경기에 주는 충격도 점차 커지고 있는데 지난 5월 중국 정부는 부동산 경기 연착륙을 위해 1) 5년 물 LPR 금리를 15bp 인하, 2) 대출금리 하향 선도 20bp 인하, 3) 지역별 주택 구매 제한요건 등 규제를 완화했습니다.
그러나 부동산 디벨로퍼에 대한 디레버리징 기조가 유지되다 보니 디벨로퍼들의 유동성 경색이 더 심해졌고 더 많은 기업들의 기술적 디폴트가 발생했습니다. 급기야 디벨로퍼들의 부도로 분양받은 주택을 받을 수 없겠다는 공포감에 7월부터 여러 지역에서 모기지 보이콧이 이어지면서 투자심리가 위축되고 있습니다.
하반기에도 성장 산업에 쏠릴 수급
중국 정부는 하반기 더욱 완화적인 통화 정책을 펼치면서 사람들이 소비와 부동산을 살리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우선 사람들의 소비 심리와 디벨로퍼들이 투자 심리가 반등돼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그들의 심리는 빠른 시간 안에 바꾸기는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여전히 코로나 방역정책을 실시하고 있고 부동산의 투자 심리 개선도 상대적으로는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죠 그렇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중국 정부의 완화된 금리인하에 따른 수혜는 상반기와 마찬가지로 성장산업에 쏠릴 것으로 보입니다.
주로 전기차, 신재생, 반도체, 빅 테크 등 성장산업에 수급이 쏠릴 것으로 생각이 들고 경제 회복 속도가 예상보다 더디기는 하지만 지원책에 대한 기대가 이어질수록 구조적 성장주에 유리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기 떄문에 여전히 하반기에는 홍콩보다는 본토 시장, Chinext, 과창판 50 등 성장 지수의 투자 매력이 더 높아 보입니다. 하지만 하반기에 중국의 소비가 살아나고 부동산 중심으로 투자 심리가 회복되는 지표들이 나온다면 그때는 현재 가격이 싼 소비 관련 주식들을 담아야 할 때라고 생각이 듭니다.
현재 블룸버그에 따르면 올해 중국의 GDP 성장률을 연초 전망치인 5.5%보다 더 낮은 4%로 잡았지만 현재 4%보다 더 낮은 3.8%까지 하락해 올해 중국의 GDP 성장률 5.5% 달성은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하루빨리 중국 정부의 완화적인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을 통한 소비자와 투자자들의 심리 개선이 우선이라고 생각합니다.
'투자에관하여 > 매크로 전망 및 거시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8월 잭슨홀 미팅에서 주목해야 할 관전포인트 정리 (0) | 2022.08.23 |
---|---|
8월 금통위 금리인상 25bp or 50bp 인상 둘 중 어떤것을 선택할까? (1) | 2022.08.19 |
낸시 펠로시의 대만 방문이 금융시장의 새로운 리스크라고 보는 이유 (ft,칩4 동맹) (1) | 2022.08.08 |
7월 FOMC 75bp 금리 인상으로 흘러갈 가능성이 높은 이유 (0) | 2022.07.25 |
7월 금통위 50bp 빅스텝 금리인상 가능성 (4) | 2022.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