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에관하여 349

OLED 관련주 LX세미콘 주가 전망

2분기 실적 Review LX세미콘의 2분기 실적은 매출액 4,493억 원 (YoY +105.0%, QoQ +10.8%), 영업이익은 955억 원 (YoY +923.9%, QoQ +61.3%)으로 컨센서스 영업이익을 46% 상회하는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했습니다. 한편 DDI 판가 인상 효과로 분기 영업이익률이 상장 이후 처음으로 영업이익률 20% 상회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비대면 환경 장기화로 IT 기기 수요 호조세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디스플레이 구동 핵심 부품인 DDI는 8, 12 파운드리 공급 부족 영향으로 현재 부품 공급난에 있습니다. TV부문에서는 2분기 중국 패널 메이커향 DDI 출하 증가 및 판가 상승이 동반되어 어닝실적에 큰 영향을 주었고, 중국 시장의 UHD TV용 DDI 수요 강세 ..

미국 8월 제조업 PMI 구매관리자지수가 중요한 이유와 예측

이번 주 경제 캘린더 중 최대 이벤트는 1년에 한 번 열리는 잭슨홀 심포지엄 미팅입니다. 다만 저는 이 부분에 대해 어느 정도 동의하지만 그것보다 이번 주에 있을 미국 제조업 PMI 구매관리자 지수와 미국 PCE 개인소비지출도 잭슨홀 미팅만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잭슨홀 미팅만 봐서는 안 되는 이유는 지금 증시 조정의 원인이 오직 테이퍼링에만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인데 그 외에도 테이퍼링을 둘러싼 주변 환경의 변화가 증시 하락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저는 지난 포스팅을 통해 지금 조정이 일어나는 이유로 테이퍼링 우려 말고도 경기둔화 및 델타 변이 바이러스 및 중국 정책 영향을 꼽았는데 그중 경기둔화는 이번 제조업 PMI 지수와 연관이 있으므로 주목해서 볼 필요가 있습니다. 최근 ESI(Economi..

8월 잭슨홀 회의, 잭슨홀 미팅 중요 포인트 완벽 정리

https://market-investment.tistory.com/342 8월 잭슨홀 미팅에서 주목해야 할 관전포인트 정리 8월 잭슨홀 미팅 Preview 8월 잭슨홀 미팅이 이번 주 금요일 한국시간으로 금요일 밤 11시에 시작됩니다. 최근 잭슨홀 미팅을 앞두고 영국과 독일의 강력한 인플레이션 그리고 천연가스 가격이 급 market-investment.tistory.com (2022년 8월 잭슨홀 미팅에 대한 새로운 글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해당 링크를 통해 들어오시면 보다 자세한 내용을 접하실 수 있습니다.)

퀄리티 주식과 퀄리티 ETF가 주목받는 이유 (ft.QUAL ETF)

퀄리티 주식이란? 최근 경기 Peak-out 우려, 델타 변이 바이러스, 테이퍼링 압박, 중국 정책 규제 문제 등 많은 악재들이 한 번에 겹치면서 시장 변동성이 커지고 있는데 이러한 상황 속에서 퀄리티 주식의 강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퀄리티 주식은 "우수한 재무 구조를 가진 주식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ROE가 높고 이익이 안정적이며 재무적으로 견고한 주식을 뜻 합니다" 일반적으로 퀄리티 주식 섹터는 경기가 하락하는 국면(성장주 강세)이나 시장 변동성이 커지는 구간에서 강한 모습을 보이는데 특히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재무적으로 불안정한 기업들이 도산을 하거나 주가 타격이 더 큰 모습을 보이면서 그 이후로 재무안정이 기반이 된 기업들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펀더멘털이 견고한 주식..

한국 주식시장을 위협하는 3가지 요인 (ft.델타 변이, 테이퍼링, 중국 성장 둔화)

코로나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 선진국 중 미국이나 유럽은 견조한 백신 접종을 통해 경제 상황은 상대적으로 양호하나 한국은 백신 접종이 원활하지 않을뿐더러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까지 겹치면서 이는 경제지표 둔화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실제 IMF는 지난 7월 선진국 경제성장률을 상향 조정하면서 신흥국 시장의 국가들의 경제 성장률은 하향 조정한 적이 있습니다. IMF는 7월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코로나19 재확산이 백신 접종 격차를 보이고 있는 신흥시장국과 선진국 간의 경기 회복 차이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7월 기준으로 선진국에서 백신 접종을 완료한 인구는 약 35%인데 비해 신흥국은 10%에 그치고 있습니다. 백신 접종의 차이는 코로나19 확산 속도의 차이로 이어지고 있는데 금번 코로나19 확산 ..

7월 FOMC 의사록 - 테이퍼링 시기 발표할까?

-인플레이션 수요 감소? 이번 8월 지역 연은 제조업 지수를 보면 인플레이션 수요가 감소했을 조짐이 나타났습니다. 8월 뉴욕 연은 제조업 PMI 지수가 18.3pt를 기록하면서 전월 43pt 대비 급락하였고 시장에서도 전월 대비 하락을 예상했지만 예상치 29pt도 하회했습니다. 운송시간 지수와 가격 지수는 높은 수준을 유지한 반면, 신규 주문과 출하, 재고와 고용 등은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 말은 즉슨 운송 차질과 그에 따른 공급 병목 인플레이션 압력은 여전히 유효한 상태이지만 수요 인플레이션은 둔화되고 있을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다만 제조업자들의 판매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걸 보면 걱정하는 만큼 수요의 큰 감소는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8월 뉴욕 연은 제조업 PMI로 인해 인플레..

휠라홀딩스 2분기 실적 Review, 휠라홀딩스 주가 반등 가능할까? (ft.휠라홀딩스 주가전망)

2분기 실적 Review 휠라홀딩스의 2Q21 실적은 매출액 1조 194억 원, 영업이익 1,738억 원을 나타내면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YoY +63%, 246%나 성장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컨센서스를 각각 11%, 22% 상회했고 휠라 브랜드 매출과 영업이익은 가각 24%, 43% 성장했습니다. 다만 한국에서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4%, 1% 하락했는데 쿠팡/면세 채널 호조, Ked`s 판매 시작, 기능성 신발 출시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오프라인 홀세일 매출이 부진했던 영향으로 순수 국내 매출은 6% 하락하고 영업이익은 21%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디자인 서비스 수수료가 148억 원을 기록하면서 어느 정도 실적 부진을 상쇄하였습니다. 미국에서의 매출액은 기저효과에 ..

SK하이닉스 주가 분석 - 반도체가 과거와 다른 사이클로 갈 것이라고 믿는 이유

반도체 사이클의 불확실성 많은 전문가 및 증권 애널리스트들은 작년 말만 해도 2021년은 2018년의 영광인 반도체의 슈퍼 사이클이 다시 돌아올 것이다라고 밝히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목표주가를 크게 높여 놓았었는데 기대와는 달리 서버와 PC 등 주요 제품 수요 둔화로 인해 DRAM 시장의 공급 과잉 우려로 인한 가격 하락 불확실성으로 인해 이번 주에만 무려 SK하이닉스는 14%, 삼성전자는 9%나 주가가 급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러면서 많은 투자자들은 이 같은 원인에 대해 많이 불안해했고 모건스탠리 같은 외국계 매도 리포트에 이렇게 많이 수급이 빠지는 모습을 보면서 저 또한 당황스러웠고 화가 나기도 했습니다. 이 같은 주가 급락의 주요 원인은 3분기 이후 반도체 사이클에 대한 불확실성과 지난 ..

애플 주가 APPLE (APPL.US) 어디까지 상승 할 것인가?

애플 2분기 실적 Review 애플의 2분기 실적은 순매출 814.3억 달러 (YoY +36%), EPS는 1.30달러(YoY +100%)로 시장 기대치를 모두 상회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제품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YoY 37.4% 증가한 639.5억 달러를 기록하였고 서비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YoY 32.9% 증가한 174.9억 달러를 기록하였습니다. 제품별로는 아이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YoY 49.8% 증가한 395.7억 달러를 기록하였고 시장 기대치였던 340.1억 달러를 상회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맥의 매출은 +16% 증가하였고, 아이패드는 +12% 증가, 웨어러블은 +36% 증가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애플은 예상보다 높은 실적을 보여주었지만 반도체 부족으로 인한 아이폰과 아이패드..

[환율전망] 최근 달러강세 원화약세 기조가 꺾이지 않는 이유

지난 1월 코스피의 어마 무시한 상승이 나타날 때 당시 배경으로는 바이든 대통령 취임 및 민주당 하원 상원 모두 장악이라는 블루웨이브 영향으로 재난지원금 및 인프라 정책이 있었고 이는 달러를 대규모로 공급하여 달러가 약해지고 원화가 1,082원 까지 내려가는 원화 강세가 나타났었습니다. 그러면서 수급이 선진국보다는 신흥국에 많이 쏠리는 현상이 나타났었는데 그 이후 미국의 10년 물 금리 상승의 이유를 시작으로 계속해서 원달러 환율이 1,140~1,150원 정도 왔다 갔다 하다가 2분기 경기 Peak-out 논란으로 사람들이 안전자산인 달러를 찾는 모습이 나타나면서 1,150원 정도를 계속해서 유지하였고 그러다가 최근 원달러 환율이 1,160원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요즘 왜 이렇게 달러 강세가 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