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54

코카콜라 주가 전망 - 가격 인상과 리오프닝 수혜를 받다

1Q FY22 실적 코카콜라가 1Q FY22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1분기 실적을 살펴보면 매출액은 105억 달러로 YoY +16.6%, QoQ +10.9% 기록했으며 영업이익률은 31.4%로 YoY +0.4% p, QoQ +9.3% p 기록하면서 각각 컨센서스 대비 +6.8%, +1.4% p 상회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주당순이익 EPS는 0.64달러로 YoY +16.4% 증가, QoQ +42.2% 컨센서스 대비 +10.5% 상회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코카콜라는 주요 제품의 가격 인상 효과로 매출이 7% 상승했고 비용 증가와 환손실로 인한 손해 부분을 상쇄했습니다. 최근 리오프닝 영향으로 주요 제품의 판매량도 8%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고 주로 영화관, 스포츠 관람, 레스토랑에서의 음료 수요가 크게 반등..

엔비디아 주가 하락의 원인, GPU 수요와 매크로 영향 분석

악화된 매크로 현재 엔비디아를 포함한 반도체 기업들이 주가는 연초 대비 크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주가 평균 하락은 S&P 500, 나스닥 지수보다 더욱 심하게 빠지고 있는데 이 같은 영향으로는 미 연준의 매파적인 통화정책으로 인한 악화된 매크로 환경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지는 환경 속에 직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너 나할 것 없이 모든 반도체 기업들이 빠지고 있는데 AMD, 퀄컴, 엔비디아, TSMC,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이 모두 빠지고 있습니다. 여기에 최근 중국의 제로 코로나로 인한 지역 봉쇄 및 셧다운으로 반도체 칩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어 반도체 기업들의 모멘텀은 많이 약해졌습니다. 중국 주요 도시 봉쇄가..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금리 인상 과연 경제가 버틸 수 있을까?

미 연준의 빅 스텝 아마도 올해 글로벌 주식시장 하락 이유를 쉽게 정리한다고 하면 이렇게 정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지난주 파월이 5월 FOMC에서 기준금리 인상을 최소 0.5% p 필요할 것이라는 50bp 빅 스텝 발언으로 주식시장은 주간 기준 하락 마감했습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은 장기화되고 있으며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에 따른 생산과 물류 문제도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글로벌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은 낮아지고 있습니다. 어찌 보면 지난 2018년 신흥시장은 무너지고 미국만 나 홀로 경제가 버텨주는 그런 모습이 나오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1달 전까지만 해도 5월 FOMC에서 50bp 이상 금리인상 즉 빅 스텝 전망 확률을 FED WATCH 기준으로 68% 수준이었지만..

테슬라 주가 상승위해 필요한 투자포인트 정리

22년 1분기 실적 Review 테슬라가 22년 1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실적을 살펴보면 1분기 매출액은 187.6억 달러로 YoY +81%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고 영업이익은 36억 달러로 YoY +507% 상승, 순이익은 33.2억으로 YoY +658% 증가, EPS는 YoY 246% 증가한 3.22달러 기록 영업이익률은 19.2%로 QoQ +4.5% p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1분기 판매대수를 살펴보면 31만대로 YoY +68% 상승했고 세부 모델별로 살펴보면 모델 3, Y는 29.5만 대 YoY +62% 상승, 모델 S, X는 1.5만대로 YoY +625%를 기록했습니다. 지난 3월 미국 및 중국 판매 가격을 5~10% 인상했는데 자동차 부문 매출 총이익률은 YoY +6.4% p 증가한 3..

미 연준의 금리인상 우려가 소비 둔화로 이어질 가능성은?

양호한 미국 소비 미국의 3월은 여러 분야에서 높은 물가 상승세를 보여주었습니다. 8%대 물가, 100 달러 유가와 더불어 미국 국채금리 급등, 특히 모기지 금리 급등 현상으로 미국 소비 사이클이 흔들리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다만 다행히 3월 소매판매는 각종 악재에도 시장 예상치를 소폭 하회했지만 전월비 0.5%의 높은 소비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4월 미시간대 소비심리지수도 3월 59.4에서 65.7로 급등하는 예상외의 결과를 보여주었고 소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각종 악재인 인플레이션, 금리인상 등의 등장에도 미국 소비경기가 크게 동요하지 않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목과 같이 언급한 소비 둔화 요인, 특히 모기지 금리 상승은 소비 경기에 여전히 위험..

반도체 수요의 감소, 가격 하락을 불러 일으킬까?

길어지는 중국 봉쇄 중국 주요 도시의 봉쇄가 예상보다 길어지면서 세트 업체들의 불안감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상하이와 쿤산의 IT 부품 생산 차질에 이어 중국 내수 수요 감소 장기화 및 타 지역 봉쇄 확산 가능성도 우려가 되고 있습니다. 상하이에서는 여전히 2만 명대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고 시안, 광저우, 정저우도 부분적으로 봉쇄를 시작하고 있으며 상하이시에서 16일 제조기업 생산 재개 지침을 발표했지만 경제 활동 정상화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봉쇄 해제 이후에도 일부 물류 차질 가능성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고 이에 따라 자동차, PC, 스마트폰, 서버 등 전 영역에서 출하량이 영향을 받고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대만 노트북 ODM 업체들은 폐쇄가 5월까지 연장될 경우 2분기..

원자재 가격 부담 느끼는 건설업 이익 훼손 나타날까?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실적 우려 건설 현장의 주요 자재인 철근과 시멘트 등의 가격 상승 및 인상 가능성은 대선 이후 주요 건설업체의 주가 조정과 실적 우려의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2022년 4월 초 철근 가격은 톤당 114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YoY +35% 상승했습니다. 시멘트 판가 역시 지난 7년간 유지되었던 톤당 7.5만 원의 단가를 기준으로 2021년 7월 5.1% 인상에 이어 2022년 2월부터 추가적인 18% 가격 이상 적용 안에 대한 협상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다만 판가 인상 과정에서 건설 현장의 공정률 문제와 이에 따른 자체 보상금 등 원가 상승을 야기하는 수급 이슈는 제한적인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도 이 같은 원자재 부담 상승에 따른 건설업 업종들의 이익 훼손은 불..

인플레이션과 리오프닝 동시에 수혜를 받는 음식료 섹터 분석

음식료 1Q22 분석 음식료 업종의 1분기 합산 주가 수익률은 1% 상승하며 같은 기간 코스피 대비하여 6% p 상승하였고 어려운 심리가 악화된 시장 상황에서도 선방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지난해부터 가파르게 상승한 원부자재 부담으로 기업들은 가격 인상이 이어졌고 이에 따라 인플레이션 일부 가능한 음식료 업종들에 대한 수혜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최근 음식료 업종을 위협하는 리스크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추가적인 곡물가 상승인데 이에 따라 업종 별로 주가가 조정이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추가적인 곡물가 상승으로 손익 악화가 나타날 수 있는 오리온, 농심, CJ제일제당 등의 주가 흐름은 좋지 못했고 반면에 사회적 거리두기 제도 완화로 즉 리오프닝의 수혜를 받는 하이트진로, 롯데칠..

TSMC 주가 상승위해 해소되야 할 투자 포인트 정리 (ft.TSMC 1분기 실적)

1분기 실적 Preview TSMC는 지난 1월과 2월 매출이 최대치를 기록함과 동시에 이번 3월 매출도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이번 1Q22 실적은 역사상 높은 수치의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우선 이 같이 높은 실적을 기록할 수 있는 원인으로는 바로 HPC( High Performance Computing)의 강한 수요로 인해 성장을 이끈 것으로 보입니다. HPC 하이 퍼포먼스 컴퓨팅 사업은 PC, 게임 콘솔, 서버, 통신장비, 태블릿에 탑재되는 반도체를 의미하는데 HPC는 대표적으로 애플의 MAC 라인업에 탑재되는 M1 칩이 존재합니다. TSMC는 일반적으로 모바일용 제품 매출 비중이 50% 내외였는데 HPC 제품 매출 비중이 지속적으로 높게 올라오면서 통상적으로 비수기인 4분기, 1분기에..

미국 3월 CPI 소비자물가지수 결과에 따른 향후 증시 전망

3월 CPI 예상 컨센서스 미국 3월 CPI 소비자물가지수가 4월 12일 화요일 발표됩니다. 인플레이션은 3월에 고점을 형성할 수 있지만, 빨리 내려오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월가에서는 3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CPI가 전월대비 MoM 1.2%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고 1.4% 상승을 예상하는 전망치도 나오고 있습니다. 전망치는 꾸준하게 상향 조정되고 있고 전월 대비 CPI의 1.2% 상승세가 1년 동안 지속되면 연간 15% 상승하는 속도로 가파른 물가 상승세가 3월에 정점을 형성할 것이라는 기대가 높아지고 있으며 YoY 전년대비로는 +8.5%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현재 YoY 예상치는 +8.5%로 전월인 2월 CPI 7.9%보다 더 높아질 전망이지만 4월부터는 낮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